정보쟁이
4대보험 계산기 계산법 알아보기 본문
4대보험은 회사 입장에서나 근로자 입장에서도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보통 연봉이나 월급을 이야기 할 때 세전 혹은 세후 라는 이야기를 하고는 한다. 이는 다양한 세금을 제하고 나서의 금액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금의 주 구성은 4대보험이며 지금부터 4대보험 계산기 계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요율은 매년 달라진다. 2017년의 경우에는 2016년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먼저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 접속을 하면된다.
www.nps.or.kr
접속을 하고 우측 하단으로 스크롤을 내려보면 알아보기 메뉴에 4대보험 계산기가 자리하고 있다. 이 계산기는 4대보험을 알아보기에 아주 기초적이면서도 쉽게 접근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연금보험로 계산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기준 소득월액을 입력하면 결과가 바로 도출된다. 이때 기준 소득월액은 우리가 받는 월급을 넣으면 된다. 신고소득월액을 넣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총 연금보험료가 계산되어 나오며 근로자 부담금과 사용자 부담금으로 나누어 보여진다. 이때 근로자 부담금이 우리가 내는 세금이 되고 사용자 부담금은 우리를 고용한 회사에서 내는 세금이 된다.
오른쪽 탭을 이동하면 고용보험료 계산기도 있다. 근로자수를 선택하고 신고소득월액을 넣으면 마찬가지로 총액과 근로자부담액과 사용자부담금이 산출이 된다. 아래 비고를 통해 보이지만 근로자는 실업급여 부담이며 사용자는 실업급여는 물론 고용안전과 직업능력개발사업 요율이 같이 적용된다. 그 외에도 국민건강보험 계산과 산재보험료 계산도 가능하다. 국민건강보험에서는 건강보험료는 물론 장기요양보험료도 확인할 수 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연금관리공단 알아보기 (0) | 2020.03.04 |
---|---|
회사에서 자격수당 주는 산업안전기사 응시자격 큐넷(Qnet)으로 알아보기 (0) | 2018.03.06 |
엑셀 셀 합치기 셀 병합 간단 방법 (0) | 2017.09.29 |
070 전화 차단 그리고 스팸전화 차단 (0) | 2017.09.26 |
헌혈 조건 제대로 알아보기 (0) | 2017.06.22 |